“‘나는 작가가 되고 싶어’라고 말하는 사람과 ‘나는 글을 쓰고 싶어’라고 말하는 사람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전자는 ‘칵테일 파티’에서 주목받고 싶어 하는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후자는 책상 위에서 고독의 시간을 가지며 오랫동안 준비하는 사람일 것이다. 특히 전자는 작가라는 ‘지위’를 원하지만 후자는 과정을 중시한다. 전자는 희망할 뿐이지만 후자는 실행하는 사람이다. 결국 후자가 뭐든지 이루어낼 것이다.” <새 인문학 사전> <존재의 이유> 등 인문학 베스트셀러 저자로 유명한 영국의 철학자이자 유럽을 대표하는 지성인 A.C. 그레일링(Grayling)(73)이 지적한 이 말은 일의 결과나 목표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유명 작가가 되겠다는 목표 아래 쓰는 글과, 진정 마음속으로부터 우러나와 쓰고 싶어 쓰는 글 중 어느 것이 더 진솔하고 따스한 인간미가 배어있을지는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성공 가능성도 후자가 더 클 것이다. 0…인생에서 결과와 목표만 중시하다보면 성공의 순간에 잠시 성취감에 행복할 뿐 오랜 시간 스트레스와 초조감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반면, 일의 과정을 즐기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여유롭게 살아가면서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목표만 바라보고 달리다 보면 주변의 더 큰 가치를 잃어버릴 수 있다. 결국 결과보다 과정 자체를 즐기는 사람이 더 오랫동안 행복한 것이다. 한국이 짧은 기간에 고도성장을 이룩한 것은 목표지향적 가치가 큰 몫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어떻게든 목적만 달성하면 된다는 식의 사회적 병리현상을 나은 것도 사실이다. 한국의 학생들에게 익숙한 암기위주의 학습방법도 결국 결과만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나았다.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보다 결과적 정답만이 우선시 된 것이다.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할 때도 삼라만상의 본질을 세심히 관찰하는 정서적 수련 과정이 중요하다. 이것이 결여되면 혼(魂)이 없는 기계적 작품이 되고 만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과정을 즐기면서 공부해야 깊이가 있는 작품이 탄생할 수 있다. 0…얘기는 좀 다를지 몰라도, 이민사회에서 한인들이 많이 즐기는 골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 골프를 잘 치지 못하지만 누가 초청을 하면 기꺼이 응한다. 거기엔 이유가 있다. 필드에 나가기까지의 과정 자체를 즐기는 것이다. 골프백을 챙기고 클럽을 손질하노라면 출전의 기대감에 가슴 설렌다. 나는 특히 청명한 날의 새벽 골프를 즐긴다. 신선한 새벽 공기 속에 운전을 하면서 즐기는 커피 한잔과 클래식 음악은 더할 나위 없는 스트레스 해소 과정이다. 골프장 가는 길이 멀어도 좋다. 비가 오면 오는 대로, 바람이 불면 또 그것대로, 다 아름다움이 있다. 녹음(綠陰)이 싱그런 교외(郊外)의 풍경 그 자체를 즐기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마음의 여유를 만끽하며 플레이 하는 날은 비거리도 멀리 나가고 점수도 그런대로 잘 나온다. 목표에 크게 연연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기 때문이다. 0…나는 골프장의 홀과 홀 사이를 걸어갈 때도 주변 경치를 최대한 즐기는 편이다. 점수에는 별로 연연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구력(球歷)이 꽤 돼가는데도 점수는 항상 100을 오락가락 한다. 동반자가 퍼팅에 온 신경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나는 파란 하늘을 쳐다보는 때가 많다. 스코어가 좀 높으면 어떤가. 이런 재미로 필드에 나오는 것이지 그까짓 스코어가 뭐 그리 대단한가 말이다. 이런 느긋한 시간을 갖는 자체가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파란 하늘과 싱그러운 나무 숲을 즐길 사이도 없이 온통 점수에만 집착하는 사람은 무슨 재미로 그럴까. 인생의 여정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가야 할 길이 너무 멀다고 짜증낼 것도 없고 길이 막힌다고 불평할 일도 아니다. 고속도로를 씽씽 달리면 주변경치를 즐길 사이가 없다. 호젓한 시골길을 따라 드라이브 하면서 자꾸 도착시간만을 따진다면 불행한 여행이다. 차는 그냥 교통흐름에 맡긴 채, 음악도 듣고 휴게소에 들러 커피도 한잔 하면서 느긋하게 여행하면 얼마나 마음이 여유로운가. 안달한다고 일찍 도착하는 것도 아닐진대, 운전 그 자체를 즐기는 편이 낫지 않은가. 0…우리네 이민생활도 마찬가지가 아닐는지. 미래의 목표를 세우는 것은 좋지만 때론 주위도 좀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너무 현실에 집착해 조바심 치다 보면 아름다운 캐나다의 대자연도 나와는 전혀 무관한 것이 되고 만다. 물론 먹고 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다만, 지나치게 눈앞의 이익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란 뜻이다. 돈을 벌어 잘 살아보겠다는 일념으로 죽어라 일만 하다 보니 그런대로 먹고살만해지긴 했지만 잃어버린 청춘은 어디서 보상받느냐고 한숨 쉬는 동포들이 많다. 일상생활에서 지나치게 결과와 목표만 추구하다 보면 스트레스도 심해지고 오히려 일도 잘 안 풀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너무 현실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가끔은 푸르른 하늘을 올려다 보면서 한숨 고르는 여유도 가질 일이다. 너무 나무만 보지 말고 가끔은 숲도 보자. (사장)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Joseph H. Chung (정희수), Ph.D. Professor of Economics at Quebec University in Montreal (UQAM) Introduction For last thirty years, the world has been watching the saga of downfall of the Japanese economy. In particular, the world has been watching with curiosity and even worry about the amazing adventure of Abenomics. The disappointing performance of the Japanese economy and the amazingly inefficient Tokyo's policies have produced the "Japanzation" of the economy meaning the three-decades of economic recession followed by depression and deflation. There is no reason why other economies will not share the same hateful experience in the future. In fact, there were some voices, thought weak, of worry about such possibility in Korea before the take- over of power by Moon Jae-in in 2017. Since the declaration of Abenomics, in 2013, the growth rate of Japan's GDP is no longer of minus figure, but still the lowest among the advanced OECD countries. The per capita GDP fell from US$ 44,674 in 2010 to US$ 39,295 in 2018 True, there are a few encouraging signs. The number of jobs has increased; the consumer price index is no longer zero but still below 2% which had been the policy target. The value of Yen fell by 20% but did not help much Japan's exports. You may say that these data mean a success of Abenomics, but, if it is, its social cost is high. The fiscal incentive policy has imposed on the Japanese people a national debt ratio of 250%, the highest in the world of advanced countries. The central bank of Japan has applied so called "quantity easing" in order to prepare and inject liquid money amounting as much as 88% of GDP into the financial market with no convincing results. But, before anything else, the suffering that the Japanese people had to endure because of the wro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deserve our attention. Declining real household income and increasing non-regular jobs, the lack of adequate care for the elderly, the refusal of the young to get married are some of the collateral damages of the wrong judgements of policy choices and execution. What is really surprising is this. Despite such long deflation and suffering, Japanese people have not shown massive protest. Is this due to their legendary docility? Or is it attributable to their fear of severe punitive reaction by the government? Many will ask the question: Is Abenomics a failure or a success?" This question is of course important, but the more important question is: "What is the lesson of the deflation of thirty years?" I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later. This paper has four parts. First, we will see how the Japanese economy has evolved since WWII. Here, we borrow some of the ideas found in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by stage. Second, we will see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the bubble in the first place and its explosion in 1989. Third, we will discuss the policy measures adopted by the government. Fourth, the focus will be on the reason for the policy failure. And we will seek for policies better suited for the recovery of the Japanese economy. 1. Evolution of the Japanese Economy. There can be several indicators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but GDP is, perhaps, one of the useful yardsticks. The evolution of the Japanese economy has gone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take-off, accelerated growth, stable growth and stagnation followed by deflation. It appears that the Japanese economy took off in the 1950s and the first half of 1960s. During this period, Japanese economy grew, at time, as fast as more than 20% per year in the 1950s, 9.2 %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and 11.4 % in the latter half of the 1960s. This period of rapid growth was attributable to American Dodge Plan, the Korean Wa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American high technologies to Japan's needs, managerial innovations undertaken by major corporations such as "just in time delivery" and the Confucia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life-time job and seniority-based wage system. This period was one of the "Japanese Miracle." Japan was admired; Japan was envied; Japan was imitated. Then, from 1970s for two decades, the Japanese GDP grew at about 4.5% per year. This period was the stage of stable growth. One thing unusual was that the rate of GDP growth dramatically fell by 60% (6.9 percentage point), compared to previous stage (11.4%); this was unusually violent fall. This could have been due to Japan's loss of technological edge. In fact, much of Japanese technologies were modified versions of American technologies; they were not the original technologies invented by Japan; they were relatively easily transferred to other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Taiwan Moreover, this period was the beginning of significant moving of a number of Japanese firms to low-wage countries. This was another factor responsible for the decrease in the GDP growth rate.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weaken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Keiretsu firms (large industrial, financial and trade corporations) which were the post-WWII version of Meiji Era's Zaibatsu. The Zaibatsu played the central role for the success of the Meiji Restor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is period was also the period of the creation of the bubble and dramatic bursting of the bubble. We will come back later to this issue. The decades of stable growth was followed by the decades of deflation and stagnation. After the bubble explosion in 1989, the average annual rate of GDP growth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dropped to 1.72% from 5% of the preceding five years. This was the beginning of three decades of painful stagnation and deflation. During the period of 1996-2018, the annual GDP growth rate never exceeded 1.0% with the exception of the first half of the 2000s when the growth rate was 1.22% There were periods of minus growth rates. In 1998, GDP fell by 2.0% and in the following year, it came down by 0.2%. In 2007, the growth rate was minus 1.0%, while it was as low as minus 5.5% in 2008. In 2011, the Japanese GDP shrank by 0.5%. Such is the saga of the incomprehensible breakdown of the number-two economy of the world 2. The Bubble and the Oligarchy The world was shocked by the explosion of the huge bubble in 1989. The value of stocks fell by 60% in 1990; the value of real estate had a free fall of 80%. This bubble bursting hit hard Japan, very hard. Why such a dramatic fall? The answer: "It is because the price went up too high in the past!" In 1988, the price of Ginza area land of one square meter was US$139,000. The area of the Japan's territory was 37% of that of the U.S., but the value of Japanese real estate was in 1988, four times that of the U.S. The value of stocks in the Tokyo stock market soared from 60% of GDP in 1985 to 152% of GDP in 1989. Who and what were responsible for such a bubble? It is true that the Plaza Accord of 1985 was perhaps responsible in part. The resulting dramatic appreciation of Yen in comparison with the value of US dollar might have attracted foreign capital to be invested in real estate and stocks for speculative purpose.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알제리 전쟁 배경 영화를 언급하다 보니 전쟁 영화는 아니지만 알제리 카스바를 배경으로 한 '망향'이란 영화가 생각난다. 너무도 강렬하게 남아있는 마지막 장면 때문이지 싶다. 1937년 프랑스 흑백 스탠더드 작품. 주연 장 가뱅, 미레유 발랭. 러닝타임 94분. 감독 및 각색은 "사탄과 같은 여자(La Femme et le Pantin·1959)"의 쥘리앙 뒤비비에(Julien Duvivier, 1896~1967). 원제는 '페페 르 모코(Pepe le Moko)' 즉, '모코인 페페'라는 뜻인데 '모코'는 '툴롱(Toulon, 프랑스 남단 지중해 연안 도시) 출신의 사람'을 일컫는 속어다. 주인공 페페가 툴롱에서 은행을 턴 후 알제리로 도망쳐서 카스바에 은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런 별명이 붙었다. 그러나 원제는 주인공의 별명과 이름뿐이어서 좀 밋밋하다. 그보다는 우리말 제목 '망향(望鄕)'이 훨씬 더 감정적으로 와 닿는다. 물론 여기서 페페가 그리워하는 고향은 시골이 아니라 파리이다. 고향이 시골이 아닌 도시이어도 거기엔 추억과 그리움이 가득하다. 자신을 쫓는 경찰들 때문에 카스바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파리에서 살던 시절의 그리움만을 간직한 남자이기에 더더욱 그렇다. 아무튼 영화 속으로 들어가 보자. 프랑스 식민 시절의 북아프리카 알제리의 수도 알제. "담배연기 희미하게 자욱한 카스바에서, 이름마저 잊은 채 나이마저 잊은 채, 춤추는 슬픈 여인아…" 라는 유행가 '카스바의 여인'과는 전혀 무관한 현실 속의 카스바가 펼쳐진다. 시대적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인 1930년대. 따라서 당시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이 팽배하던 시기이며 세계 경제대공황이 있던 시기다. 알제리 주둔 경찰들이 거물급 범죄자 페페(장 가뱅)를 잡지 못하자 파리에서 경찰들이 급파된다. 알제리 경찰 슬리만 형사(루카스 그리두스)는 현지 사정을 잘 모르는 프랑스 경찰들에게 페페에 대해 말한다. "그는 친구에겐 미소 짓고, 적에겐 칼을 꽂죠." 그러나 카스바 안에 숨어있는 페페를 잡는다는 것은 요원한 일이다. 카스바는 미궁이나 다름없고, 페페는 그런 미궁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註: 요새(citadel)라는 뜻의 카스바(Qasba, Casbah, Kasbah)는 16~17세기 오스만 양식의 왕궁들과 '케차와 모스크(Ketchaoua Mosque)', 알모라비데 왕조의 유수프 벤 타슈핀 왕이 집권하던 11세기에 건립한 '대 모스크(Djama’a al-Kebir, Great Mosque)' 등의 문화유산이 존속하는 한편, 희고 네모난 집들이 미로를 사이에 두고 게딱지처럼 붙어있는 전통적인 독특한 도시구조를 이루고 있어 1992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도시이다. 이같은 도시구조 때문에 알제리 독립전쟁(1954~1962) 중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주요활동거점으로 이용되었다. 1만 명 정도의 수용능력의 도시에 약 7만 명의 인종들이 얽혀 살고 있기 때문에 현재 알제리 정부는 도시재개발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대체 수용시설 등 난제 때문에 감히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카메라는 아름다운 알제리의 밤하늘과 미로 같이 얽혀있는 비좁고 가파른 골목들과 그 양쪽으로 빼곡히 들어찬 집들과 온갖 인종들로 구성된 잡박한 도시 카스바를 훑는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고향을 떠나 오랜 시간 감옥 아닌 감옥 생활을 하면서 마음으로는 끊임없이 자유와 고향을 향해 달려온 페페의 밀폐되고 억압된 심리를 잘 형상화하고 있다. 프랑스 경찰들의 동향을 지켜보던 슬리만 형사는 페페가 범죄자란 사실을 알고 체포할 기회를 엿보기도 하면서 페페를 쉽게 만나기도 하는데 페페는 개의치 않는다. 왜냐하면 카스바는 은신처로서 완벽하게 안전할 뿐만 아니라, 카스바 주민들은 프랑스 경찰을 싫어하고, 그들과 적대하는 암흑가의 보스인 페페를 영웅시 하여 적극적으로 도와주기 때문이다. 또 슬리만 형사가 두목을 섣불리 체포했다간 자기도 피살될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느 날 파리에서 파견된 경찰들이 대규모의 대원들을 이끌고 카스바를 급습한다. 카스바 사람들은 지팡이나 막대기를 두드리면서 자신들만 아는 암호 같은 신호를 보내면서 경찰들이 쳐들어온 소식을 알린다. 페페의 부하 레지스(페르낭 샤르팽)가 경찰들이 잡으러 온다는 사실을 알리러 페페의 숙소로 간다. 마침 페페는 그랑페르(샤튀르냉 파브레)에게 장물인 보석을 팔러 갔기에 페페의 동거녀인 이녜스(리네 노로)에게 습격 사실을 알려준다. 이녜스는 금남(禁男) 구역인 테라스를 통해 페페에게 알리러 간다. 이윽고 경찰과 살벌한 총격전이 벌어지지만 유유히 테라스를 통해 도망치는 페페 일당. 이처럼 카스바 안에서 페페를 붙잡는 것은 허황된 꿈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카스바는 그의 존재를 외부와 단절시켜놓는 감옥과 같은 공간이기도 하다. 그가 죽으면 3천 명의 과부가 생길 정도로 많은 여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페페는 카스바에서 절대적인 존재이지만 거의 2년을 숨어 지내는 생활이 갑갑하기만 하다. 이녜스와의 동거 생활도 지겹다. 그런 중에 어느 날 밤, 페페는 경찰의 기습을 피해 달아나다가 레스토랑에 들러 마침 그곳을 여행 중이던 미모의 여인과 마주치게 되는데…. 나이 많고 뚱뚱한 부자 맥심(샤를 그랑발)의 정부(情婦)인 가비 굴드(미레유 발랭)는 젊고 패기있는 페페와 금세 이끌린다. 둘다 파리의 동향이어서 몽마르트르, 샹젤리제 등 서로 같은 기억과 향수(鄕愁)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한편 이중 첩자인 레지스가 경찰에게 페페가 아끼는 똘마니 피에로(질베르 질)를 미끼로 하면 페페를 잡을 수 있다는 묘안을 내고 실행에 옮긴다. 피에로의 연로한 어머니가 느닷없이 알제에 와서 어느 집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거짓 편지를 써서 그를 유인하는 레지스. (다음 호에 계속) ▲ '망향(Pepe le Moko·1937)' 영화포스터 ▲ 카메라는 아름다운 알제리의 밤하늘과 희고 네모난 집들이 미로를 사이에 두고 게딱지처럼 붙어있는 도시 카스바를 훑는다. ▲ 카스바 사람들은 지팡이나 막대기를 두드리면서 페페에게 경찰들이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알린다. ▲ 살벌한 총격전이 벌어지지만 유유히 테라스를 통해 도망치는 페페. 이처럼 카스바 안에서 페페를 붙잡는 것은 요원하다. ▲ 슬리만 형사(루카스 그리두스)는 페페(장 가뱅·왼쪽)가 범죄자란 사실을 알고 체포할 기회를 엿보기도 하면서 그를 쉽게 만나기도 하는데 페페는 개의치 않는다. ▲ 나이 많고 뚱뚱한 부자 맥심(샤를 그랑발)의 정부(情婦)인 가비 굴드(미레유 발랭)와 레스토랑에서 마주친 페페는 첫눈에 반한다. ▲ 파리의 동향인 가비 굴드(미레유 발랭)와 페페(장 가뱅)는 금세 서로에게 이끌린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5월 28일 정오, 서울 3호선 지하철 안국동역에서 내려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6번 출구로 나갔다. 인사동 골목으로 나가는 길이다. 이틀 후면 고국을 떠나 지난 50여 년 살아왔던 캐나다로 돌아간다. 약 2년 반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전염병으로 발이 묶여 있었다. 어렵게 떠났던 여행이 막을 내려가고 있다. 여행기간만이라도 고국에서만큼은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이 되고 싶었던 나, 하지만 나의 한계는 거기까지였다. 1866년 이씨조선 말 천주교인 대학살이 자행되었던 병인박해 당시, 한반도의 북쪽 끝에선 민족 새 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함경북도 육진 지역을 휩쓴 대기근은 굶주리고 헐벗었던 많은 한민족으로 하여금 두만강을 건너 금지되었던 땅이었던 북간도로 가게 하였다. 기막힌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생존수단으로써 도강하였던 그들은 용마루골이라 불리던 용정을 중심으로 많은 의사, 열사들을 배출하며 북간도는 민족 얼의 재생산지가 된다. 그 후 나라가 망하면서 중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국적불명의 유랑자로 전락하게 된다. 한국형 "디아스포라"의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는 특정 민족이 자의적이라기보다는 타의적으로 기존에 살던 땅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단을 형성하는 것 또는 그러한 집단을 의미한다.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나왔다. 영어로는 Diaspora라 표현하며 "디아스포라"라 발음한다. 슬픈 의미가 담겨있다. 당연히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민(Immigration)의 개념과는 다르다. 이민이 자신의 문제를 이주하려는 국가에서 해결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의 자유의지 발현인 것에 반해 디아스포라는 타의적인 의미가 강하다. 그래서 재외동포 사회를 “코리안 디아스포라"라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갖는다. ”디아스포라"는 유대인들이 조국에서 추방되어 세계 각국으로 뿔뿔이 흩어져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섣불리 나라밖 동포사회를 "디아스포라" 운운하면 당연히 불쾌감을 갖게 된다. 한민족의 "디아스포라" 역사는 우리의 관념보다는 훨씬 그 역사가 길다고 할 수 있다. 국가가 임무를 수행치 못해 백성의 안전을 지키지 못할 때는 어느 국가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 몽골 원나라의 고려 침공, 만주족 금나라(후에 청나라)에 의하여 치른 병자호란 그리고 임진왜란 등 무책임한 국가에 의하여 얼마나 많은 백성들이 낯선 타국으로 끌려갔던가? 비록 우리 역사가 그리고 교과서가 외면을 하더라도, 끌려갔던 백성들과 그 후예들은 노예가 되어 세계 각지로 흩어져 슬픈 민족의 응어리로 남게 된다. 슬픈 한민족의 "디아스포라" 역사이다. 피눈물이고 한 맺힌 진실의 뒤안길에 숨겨진 잊힌 역사이기도 하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우리는 인류의 눈부신 발전이 그리고 공존이 얼마나 쉽게 허물어지는지 목격한 세대다. 전염병 바이러스는 인종차별을 하지 않는다. 적나라하게 인간이 얼마나 이기적인지, 생존의 위협 앞에서 나약한지를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었다. 그렇다 할지라도 이 엄연한 사실 또한 바이러스의 종결과 함께 서서히 잊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서글픈 기간에 더욱 고국이 보고 싶었다. 고국을 떠나기 이틀 전인 5월 28일 친구들과 만나 전통 한국 음식점에서 점심을 시작으로 인사동 거리를 헤집고 다녔다. 옛날엔 2차, 3차 술집으로 자리를 옮기던 친구들이었지만 80을 바라보는 나이로는 어림도 없는 일이 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는 인사동 주위 전통 찻집을 전전하게 되었다. 물론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며 헤어졌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알고 있었다. 어쩌면 이것이 나와 친구들의 마지막 모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나면 반드시 헤어진다는 뜻으로 당연한 자연의 이치다. 그런데 끊을 수 없는 것이 있다. 말로는 쉽게 설명될 수 없는 탯줄과 같은 헤어질 수 없는 것이 있다. 나는 그것을 오늘 한국 여자 대표 축구팀과 캐나다 여자 축구팀과의 친선경기가 열린 BMO 경기장에서 발견하였다. 경기 전 울려 퍼진 애국가,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내 눈에는 나도 모르게 눈물이 고여 있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서울에서였다. 미군철수 반대 운동의 서명을 받던 한 여인이 말하였다. 외국에 사는 한국 사람이 더 애국자라고!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아내가 친구 집에 갔다가 양귀비꽃 한 다발을 얻어 왔다. 꽃잎이 떨어지고 씨방이 생긴 것인데, 친구가 “아직 여물기전이니 잘 말려서 씨앗을 받아라”며, 잔털이 많은 꽃대는 씨를 받은 후에 끓여 먹으라고 했단다. “끓여 먹으면 뭐에 좋은데?”하고 물으니 “나도 모르지”라고 한다. 하긴 양귀비는 그래도 아편을 만드는 건데, 끓인 물에 몽롱한 성분이라도 있겠지 싶어 기대된다. 혹시 이거 먹고 잡혀가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공짜라면 양잿물도 먹는다는데’ 일단 먹어 봐야지… 몇 년 전에도 양귀비 씨앗을 정원에 심은 적이 있는데, ‘예쁜 값’을 하는지 까탈스럽게 새싹만 피우다가 녹아 없어지고 말았다. 꽃 가꾸기도 사실 요령과 전문 지식이 필요한데 무작정 땅에다 심고 물만 주었으니 낭패를 본 것이다. 양귀비 파종 시기를 찾아보니, 가을에 심어 이듬해 봄에 꽃을 보는 것이 안정적이라 한다. 추운 지역에서는 3월에 심는 것도 가능한데, 땅에 직접 심지 말고 화분에 키워 봄에 아주 심기를 하는 것을 권한다고 하니, 그동안 뻘짓만 한 셈이다. 며칠 전, 고국의 TV 프로그램에서 진풍경을 보았는데, 경상남도 함안군에 있는 <처녀 뱃사공 노을길>을 찍은 영상이다. 남강과 함안천이 합류하는 악양둑방길 이었는데, 2.7km 길이의 둔치와 둑길에 꽃양귀비를 심어 관광 코스로 개발했다. 새벽녘 물안개나 해질녘 노을이 더해지면 이채로운 풍경을 자아낸다. 이 악양의 양귀비꽃 길은 ‘함안 9경’에 속한다. 저렇게 양귀비를 심어도 되나 싶었는데, 아편 만들 때 쓰는 씨방은 생기지 않는 관상용 꽃양귀비라고 한단다. 5월부터 7월 초순까지 핀다고 하니, 요즘이 딱 제철이다. 함안천 건너편에 악양루라는 정자가 있고, 그 옆 고개 중턱에 <처녀 뱃사공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낙동강 강바람이 치마폭을 스치면/ 군인간 오라버니 소식이 오네/ 큰애기 사공이면 누가 뭐라나/ 늙으신 부모님을 내가 모시고/ 에 헤야 데 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이 ‘처녀 뱃사공’은 1959년에 윤부길이 노랫말을 쓰고 한복남이 곡을 붙였다. 처음 이 노래를 부른 가수는 황정자이지만, 배우 김자옥의 남편인 오승근이 불러 널리 알려지며 국민 애창가요가 된다. 작사가 윤부길은 충청남도 보령 출신으로 <부길부길 유랑극단>의 단장을 지냈다. 그는 가수 윤복희와 윤항기의 아버지다. 6.25 전쟁이 막 끝난 1953년 9월에 함안에서 공연을 끝내고 강 건너로 가던 중, 악양나루를 지나게 된다. 악양나루는 낙동강의 큰 지류인 남강과 함안천이 만나는 지점이다. 그곳에서 군에 입대한 후 소식이 끊긴 오빠를 기다리며 그를 대신해 노를 저어주던 20대의 처녀 뱃사공을 만난다. 그녀는 늙은 홀어머니와 어린 동생을 보살피며 뱃사공 일을 하고 있었다. 이 사연을 들은 윤부길은 ‘처녀 뱃사공’을 작사하게 된다. ‘처녀 뱃사공’과 ‘양귀비’를 짝지어 평범한 둑길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한 것은 멋진 아이디어다. 고향이 함경북도 회령인 어머니는 일제 강점기에 부모님을 따라 연변 왕청현 하마탕이라는 곳에서 살았다. 왕청은 흑룡강성하고도 산으로 맞닿아 있다. 어린 시절, 왕청에는 항일 빨치산의 근거지가 있을 정도로 오지였는데, 하마탕은 왕청에서도 한참 더 들어간 곳이다. 수시로 나타나는 비적들 때문에 조선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에는 높은 담을 성처럼 쌓고 그 안에서 양귀비를 재배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당시 변변한 약도 없을 때이어서 양귀비에서 추출한 아편은 감기나 두통, 배탈이 나거나 할 때 먹었을 정도로 ‘만병 통치 상비약’ 이었다고 한다. 양귀비로 술도 담가 먹고 국수나 빵 같은 음식에도 씨를 넣어 먹었다는 기록도 있다. 어머니는 “양귀비는 한마디로 예쁘다”고 했다. “깊고 진한 빨강은 양귀비가 아니면 내기 어려운 검붉은 색이었다”고 한다. 지천에 양귀비가 깔려 있는데, 멍하니 쳐다보고 있으면 정신이 몽롱해졌다고 했다. 내 생각에는 아마 아편 성분 때문이 아니라 강렬한 색깔 때문인 듯하다. 양귀비는 붉은색, 자주색, 노란색, 흰색, 주홍색 등이 있는데, 주종은 역시 붉은색이다. 캐나다에서는 현충일(Remembrance Day)에 양귀비꽃을 가슴에 단다. 1921년부터 현충일을 기념하기 위해 양귀비꽃을 사용했으니 벌써 101년이나 됐다. 온타리오 구엘프 출신의 중령인 존 맥크래(John McCrae)는 1차 세계대전 중에 의무 장교로 복무했다. 그는 1915년 5월 동료 군인이 전사한 후, 한 편의 시를 썼다. ‘플랑드르 들판에서(In Flanders Fields)’라는 이 시는 캐나다에서 양귀비를 추모의 상징으로 사용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이 유명한 시에서 양귀비꽃이 언급된다. 시에서도 등장하듯 잔해 속의 석회는 양귀비의 비료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유럽, 특히 석회질이 풍부한 토양인 프랑스, 벨기에와 같은 국가에서 이 꽃은 널리 자란다. “플랑드르 들판에 양귀비꽃 피었네/ 줄줄이 서있는 십자가들 사이에/ 그 십자가는 우리가 누운 곳 알려주기 위함/ 그리고 하늘에는 종달새 힘차게 노래하며 날아오르건만/ 밑에 요란한 총소리 있어 그 노래 잘 들리지는 않네.” ‘플랑드르 들판에서’라는 시에서 영감을 얻은 안나 게린(Anna Guerin)이라는 여성은 <캐나다왕립군단(Royal Canadian Legion)>의 전신인 <참전용사협회>를 설득해 양귀비를 추모의 상징으로 채택하게 했다. 그녀는 1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프랑스 일부를 재건하기 위해 자선 단체를 설립하는데, 천으로 양귀비를 만들어 재향 군인과 전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그것을 판매한다. 그 아이디어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양귀비 씨앗은 채송화 씨앗이나 모래알보다도 작은데, 그 속에 예쁜 생명이 숨어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도도하면서도 화려한, 선명하고 요염한 꽃잎은 바람이 불면 휘어지며, 그 색을 더욱 도드라지게 한다. 살랑살랑 유혹하니 시선을 녹이고 만다. “양귀비는 한마디로 예쁘다”는 어머니의 표현이 딱 맞는 말이지 싶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지난 호에 이어) 3. 캐나다의 소득불평등 상황(계속) 캐나다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는 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 의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는 지난 20년 동안 소득불평등이 확대되어 왔습니다.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최상위층은 총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지만, 중산층과 최하위 가난한 그룹은 점차 점유율이 줄어들었습니다. 캐나다의 소득계층간 불평등은 1인당 국민소득 수준이 비슷한 오스트리아와 덴마크 보다 좀 더 심한 상태입니다. 캐나다의 전체 평균소득은 올랐지만, 상위소득자들이 중산층이나 하위소득층의 몫을 더 가져간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위20%의 고소득층이 20여년 전에는 1인당 총국민소득의 35%를 조금 웃도는 수준을 차지하였으나 지금은 40% 이상을 가져갑니다. 상위 20%의 부자들에 대해 더 심층 분석한 캐나다정책대안센터(Canadian Center for Policy Alternatives)의 연구결과를 보면, 캐나다의 소득세납세를 기준으로 상위 1%의 슈퍼부자들은 과거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캐나다 전체소득증가분의 8%만을 가져갔지만,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캐나다 전체소득증가분의 1/3을 차지하였습니다. 4. 부자는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는 이유 이러한 소득불평등은 부자들은 더 많은 소득을 얻게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구조적 문제로부터 비롯되고 있습니다. 첫째, 제도적인 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 근로자들 중에서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비율이 낮아지면 임금인상을 위한 협상력이 떨어지고, 최저임금이 일정수준에서 정체되는 경우가 그 예입니다. 또한 부유층에 유리한 국가정책이나 세금제도 등도 한 몫을 합니다. 둘째, 시장의 변화에 따른 결과입니다. 선진국들은 기술집약적인 상품을 더 많이 수출하게 되므로 고숙련된 노동자에게는 고임금이 지불되고 일자리도 늘어나는 반면, 저숙련 상품에 대한 수입의 확대로 인해 단순노동자들의 일자리는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셋째, 부동산이나 주식, 채권 등의 자산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근로소득의 한계를 뛰어넘는 추가적인 소득이 발생합니다. 특히, 부동산 자산에서 발생하는 임대소득과 양도소득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산을 보유하지 못하면 자신의 시간당 임금에 따라 결정되는 근로소득에만 의존하게 됩니다. 넷째, 소득 최상위 1% 내의 슈퍼부자들은 자산을 바탕으로 발생하는 소득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고도숙련노동에 대한 높은 급여와 보너스, 스톡옵션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처럼 억만장자들도 자신의 노동에 대한 유급 보상의 형태로 소득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다음 호에 계속) 글쓴이의 홈페이지: www.valuehome.ca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지난 호에 이어) 물론 부모 형제가 잘못되거나 아프면 마음이 괴롭고 또 도와주어야 한다는 마음이 생기고 애틋하기도 하지만 그들이 지은 죄의 대가를 내가 받으며 고통을 받아야 마땅한가. 탈무드에 나오는 한 구절을 인용해보면, 옛날 모세가 우물가에서 쉬고 있는데 한 나그네가 목이 말라 급히 우물에서 물을 마시다가 그만 돈지갑을 떨어뜨리고 떠났고, 다음에 한 나그네가 똑같이 물을 떠서 마시다 우연히 발견한 돈지갑을 주워 달아나 버리고, 마침 세 번째 나그네가 와서 물을 마시던 중에 돈지갑을 잃어버린 나그네가 돌아와 아무 죄도 없는 세 번째 나그네를 목격하고 죽여버렸다. 이런 광경이 정당치 못하다고 생각했던 모세가 하나님께 이런 일들이 왜 생기냐며 따졌는데 돌아온 대답은, 지갑을 잃고 그만 살인죄를 지은 첫째 나그네가 가지고 있던 돈지갑은 그의 아버지가 전에 남에게서 훔쳤던 지갑이었고, 두 번째 우물가에서 지갑을 주웠던 나그네는 그 지갑이 전에 그가 도둑맞았던 바로 그 지갑이었고, 세 번째 누명을 쓰고 죽임을 당한 나그네는 지갑을 잃어버렸던 형을 죽인 사람이란 말씀인데 그렇다면 첫 번째 나그네는 아버지가 훔친 지갑 때문에 살인을 하게 되었다는 말이 아닌가? 아무리 탈무드에 쓰인 말씀이라 하여도 필자는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아버지가 또는 가족이 지은 죄를 왜 아들이 갚고 당해야 한다는 것인가. 그렇게 보니 왜 엉뚱하게 아담과 하와가 지은 죄를 우리가 짊어지고 살아야 하며, 또 그것을 원죄라 하여 엉뚱한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야 하고, 또 우리의 조상 가인이 아우를 죽인 죄로 인하여 우리 인류가 악성(惡性)을 소유케 되어 끊임없이 죄를 짓고 살고 있는지 말이다. 물론 우리의 몇 인치 안 되는 두뇌로 신의 뜻을 알거나 이해할 수는 없기에 의문이 나도 그냥 믿어야 한다는 것은 수차 들어서 알고 있지만 말이다. 어쨌든 우리 인간은 미완성 작품이며, 또 약하고 미욱한 사회적 동물이기에 신을 믿어야 하고 기대야만 한다는 것은 변할 수가 없지만, 가끔씩 의문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지난주엔 필자의 아들이 여러 사람들의 도움으로 주의원에 재선되고 또 현직 교통부 부장관 자리도 지키게 되었는데, 장관들 선서식 참석차 오랜만에 Queen's Park을 방문하게 되었다. 수백 명의 참석자들 가운데 역시 우리 같은 동양인들은 몇 명 안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물론 아직도 진행형이지만 지난 코비드가 심할 때 세계 이곳저곳에선 유색인종 또는 소수민족에 대한 혐오사건들이 많이 있었던 것을 알고 또 느낄 수 있었듯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촌엔 언제나 불안을 조성하는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유색인종 또는 소수민족에 대한 혐오로 일어나는 범죄가 더욱 심해지곤 한다. 마치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나쁜 일은 타인종들에 의해 일어난다고 믿고 싶은 마음들이 생기고, 따라서 우리 유색인종들이 더 미워지는 마음 때문이다. 그때마다 우리 소수민족 또는 유색인종을 위해 나서주고 또 그나마 말발이 먹혀 들어가는 사람이 바로 정치인인 것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고 경험하고 있다. 물론 그 외에도 우리가 선거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들은 많이 있지만 세상이 불안해지고 또 살기가 빡빡해질 때는 누구보다 더 불안하고 괴로운 사람들은 바로 우리 소수민족일 수밖엔 없기에 더욱 더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정치인들이 나와야 한단 말이다. 물론 나의 생애가 다해서 나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생각할 수 있지만 소수민족으로 살아가야 하는 우리 자손들을 생각해본다면 절대로 선거에 무관심할 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 자손들이 이 나라에서 태어났건 아니건 캐나다에서 계속 살아야 한다면 얼굴색깔이 바뀌는 것이 아니기에 소수민족이란 명찰은 그리 쉽게 떼어낼 수가 없다. 우리를 대변하고 또 변호해 줄 수 있는 정치인의 배출은 자손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이다. 필자 역시 아들의 선거를 통해서 더욱 절실히 느끼기도 했지만 비록 필자의 아들이 아니더라도 한국 정치와는 너무도 다른, 돈과 부귀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캐나다의 정치인들은 본인의 희생과 각오가 없이는 참으로 외로운 싸움이란 것을 알았다. 마치 종교적 믿음이 별로인 부모의 자식이 갑자기 목회의 길로 나설 때와 같은 마음이랄까? 필자 역시 다른 일을 해도 되는데 하는 생각이 자주 들지만 본인의 인생이고 본인이 꿈과 계획을 세워 계속 노력하는 모습에 그만 입을 닫고 만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우리가 누구든, 꿈과 계획을 만들며 계속 노력하며 산다는 것은 참으로 고귀하고 중요한 것이, 우리의 생이 외로울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1890년 9월 미국 인디아나에서 태어난 Harland David Sanders는 지금도 유명한 KFC(Kentucky Fried Chicken) 창업주인데, 그의 90년 동안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 역시 성공하기까지는 많고 많은 힘들었던 시절이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해리슨과 테컴서의 악연의 만남 테컴서 전쟁(Tecumseh’s War 1810-1813) 1768년 오하이오주 칠코트에서 태어난 테컴서는 1774년 미 정착인들과의 전투에 참가한 부친의 전사를 목격하고 샤니원주민 전투병력에 가담하여 불루재킷추장을 따라 1793년 폴른 팀버 전투에 가담했다. 이 전투에서 패배한 불루재킷추장은 1794년 그린빌조약을 맺어 오하이오주의 대부분을 양보하였고, 테컴서에게 추장자리를 넘겼다. 이 조약에 증인으로 서명한 해리슨이 1801년 인디애너주 빈센스에 정착한지 4년째 되는 1805년 오하이오주에서 쫓겨난 테컴서 샤니추장은 인디애너주에 이주하여 빈센스에서 북동쪽으로 242km 떨어진 곳에 프로펫타운을 세웠다. 테컴서는 텐스크와타와와 함께 각지에 퍼져있는 원주민 부락을 찾아 다니며 원주민 연합을 통해 백인들의 영토확장을 저지하고 원주민 자치국가 설립을 호소하고 있었다. 테컴서 남동생 텐스크와타와는 신령의 힘을 받아 자신이 예언자가 되었고, 자기를 따르는 원주민은 신령의 보호를 받아 안전하게 백인들을 무찌를 수 있으니 테컴서추장을 따르라는 설교를 하여 이에 동조하는 원주민 전사가 현저하게 늘기 시작했다. 1910년 8월 테컴서는 전투태세를 갖춘 400명의 전사와 함께 북서부지역의 원주민토지를 차지한 빈센스의 해리슨을 찾아왔다. 놀란 미군들은 그들을 그라우스랜드 해리슨 저택으로 안내했다. 첫 번 만난 자리에서 테컴서는 원주민추장과 개별적으로 거래된 미국의 토지양도계약은 무효로 하고 원주민 연합과 재검토하지 않으면 원주민의 총공세를 각오하라고 얼음장을 놓고 만약의 경우 해리슨을 살해하라고 전사들에게 암시를 주었다. 1809년 웨인요새 조약으로 12만 평방 km의 토지를 원주민으로부터 매입한 해리슨은 침착하게 테컴서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겠다며 손도끼와 장총을 장전한 테컴세 전사들을 향해 칼을 빼어 들고 미군들에게 방어태세를 명령하여 양편은 전투 일보직전에 들어갔다. 다행히 해리슨과 친분이 두터운 위너맥 추장이 평화적으로 만났으니 일단 평화적으로 일단락 짖자고 하여 테컴서는 해리슨에게 만약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지않을 경우 원주민은 영국군과 합세하여 총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마지막 경고를 주고 떠났다. 이후 테컴서전쟁이 시작되었고 해리슨과 테컴서간의 악연이 시작 되었다. 티퍼커누 전투(Battle of Tippercanoe, 1811) 해리슨은 테컴서의 경고에 대비하여 매디슨 대통령으로부터 서부군 지휘관 임무를 부여 받고 테컴서에게 평화협정을 요청했으나 테컴서는 응하지 않았다. 독자적으로는 미군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테컴서는 원주민 결속을 위한 캠페인 여행으로 프로펫타운을 떠나야 했다. 떠나기 직전 동생에게 그가 돌아올 때까지 미군을 공격하지 말고 수비만 하라고 당부하였다. 군복무를 마치고 13년간 정치활동을 했던 해리슨은 테컴서가 부재 중이라는 소식을 받았다. 해리슨은 좋은 기회라 판단하고 2011년 11월 6일 인디애너주 민병 700명을 포함한 미군 1090명을 지휘하여 프로펫타운 근교 티퍼커누에 진을 치고 다음날 텐스크와타와를 만나 무력시위로 테컴서와 평화협상을 유도할 계획이었다. 해리슨 군이 접근한다는 소식을 접한 텐스크와타와는 형의 지시를 무시하고 용맹스런 전사들을 동원하여 11월 7일 새벽 4시 30분 해리슨 참수작전으로 미군을 와해하는 작전을 세웠으나 완전 무장한 상태로 수비작전을 준비한 해리슨 군에게 발각되어 치열한 전투로 이어졌다. 미군의 수비가 만만치 않다는 결론을 내린 텐스크와타와 전사들은 자신을 지켜준다는 예언자의 설교가 허위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전의를 잃고 프로펫타운까지 버리고 도주했다. 11월 8일 프로펫타운이 텅 비었다는 소식을 접한 해리슨은 군을 풀어 원주민 군량과 텐트를 모두 불태워 프로펫타운을 초토화시켰다. 여행에서 돌아온 테컴서는 동생 때문에 초토화된 프로펫타운 재 건설에 들어갔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옛날에 한 수도승이 사랑했던 인어가 다시 나올 듯 신비스런 새벽안개에 쌓인 바닷가를 산보하고, 수도원 회랑 안뜰에 립치스가 조각한 ‘비둘기-성모님-삼위일체의 동상’을 둘러보았다. 긴 수도원 복도에는 이곳에 영묘를 차지한 60여 명의 스코틀랜드 왕을 돌에 새긴 석판 몇 개를 세워놓았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등장해서 더 유명해진 맥베드 왕과 덩컨 왕의 묘비도 있을 법한데 못 찾았다. 우리는 산타 오란 채플에서 잠시 기도하고, 수도원의 아침 예배에 참석했다. 큰 성경책이 펼쳐있는 제단 위엔 분홍 꽃병 옆에 시온 산에서 발견했다는 희망의 별과 일곱 개의 촛대를 그린 큰 계란만한 석화(AD 200)가 놓여있다. 오른쪽 구석에 나무십자가 위엔 하얀 쪽지들이 잔뜩 꽂혀있다. 토론토의 우리 교회가 생각났다. 우리가 스코틀랜드에 간다고 하자 제일 먼저 반긴 사람은 빌 장로였다. 그는 우리가 아이오나 성지엔 꼭 가게 될 거라면서, 몇 해 전에 돌아가신 우리 교우 한 분의 유언을 들려준다. 누군가 아이오나 섬에 간다면 자신의 유분(화장한 유골가루)을 콜롬바 수도원이 있는 바닷가에 꼭 뿌려 달라는 것. 나는 하얀 작은 상자를 목에 걸고 바닷가 높은 바위에 올라서서 그분의 유분을 뿌리는 내 모습을 상상하고 고개를 저었다. 섭섭해 하는 빌 장로님에게 수도원 뜰에서 주워 온 반짝이는 예쁜 자갈돌 세 개를 아이오나 공동체 깃발에 쌓아 건넸다. 그 할머니의 소원을 조금이라도 풀어드리고 싶어서였다. 아이오나 수도원 교회 안에 촛불을 켜놓은 제단 옆 십자가 위에 잔뜩 꽂힌 기도문 쪽지를 보고, 나도 내 희망의 기도 쪽지를 적어 십자가 위에 끼워 넣고 싶었다. 그런 의식을 싫어하는 남편이 옆에 서 있기에 내 마음속의 백지에 그리스도에의 사랑과 내 소원을 적어 나무십자가에 꽂아 넣고 왔다. 그 중엔 ‘담임목사님이 안 계신 우리 교회에 좋은 목사님이 빨리 오셨으면’ 하는 기도도 들어 있었다. 여행에서 돌아와 주일에 교회에 갔더니, 낯선 여자 목사님이 설교를 한다. 브라인 목사님이 갑자기 사직한 후 우리 교회에 임시당회장으로 오신 캐롤린 매카보이 목사님이란다. 예배 후 친교시간에 슬라이드로 자기소개를 하는데, 에든버러 출신이라고 해서 놀랐다. 더 놀란 것은, 캐롤린 목사님이 얼마 전에 아이오나 섬의 수도원을 방문하여 며칠 동안 명상하며 이 채플의 십자가에 기도문을 써서 붙여놓고 왔다는 것! 그런 줄 알았다면 나무십자가에 붙여놓은 기도문들을 내 사진기에 잘 담아올걸. 캐롤린 목사님의 기도문쪽지를 찾아 교인들에게 보여준다면 정말 기적이야, 하면서 모두 입을 다물지 못했을 텐데. 다음날 새벽, 우리는 아직도 꿈꾸고 있는 듯한 아이오나의 바닷가 허물어진 옛날 수도원 돌담 밑에 분홍빛 분꽃과 흰 들국화가 바람에 출렁이는 것을 바라보았다. 마치 아이오나 공동체의 남녀청년들이 ‘에든버러 2010대회’ 막장에서 춤추며 노래했던 것처럼 우리에게 환송의 노래를 들려주고 있었디. “파도 위로 깊은 평화가/ 바람 사이로 깊은 평화가/ 고요한 땅위의 깊은 평화가/ 빛나는 별들의 깊은 평화가/ 당신에게 샬롬으로 빛나리” (켈트의 ‘평화의 노래’) 이윽고 뮬섬을 지나 오반 부두에서 배를 내렸다. 오반 시가지 언덕 위엔 로마의 콜로세움처럼 서 있는 맥케이그 탑이 떠오르는 햇살 아래 우리의 다음 여정을 묻고 있었다. (2011.2.28)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지난 호에 이어) “조선족들 조심하오. 한족들보다 더 위험한 게 조선족이라오. 나도 물론 조선족이지만 조선족들 중에 나쁜 놈들이 많아요. 그리고 절대 북한에서 왔다고 하면 안 돼. 북한에서 왔다는 것만 알면 나쁜 놈들은 꼭 돈을 갈취해 간다오. 공안에 신고한다고 협박하고. 그러니 절대 사람을 믿지 마시오. 그리고 나랑 같이 다니면서 주방에서 사람 구하는지 알아봅시다. 내가 도와줄게요. 그리고 내 조카딸이라고 하시오.” 갑자기 나한테 좋은 지원군이 생겼다. 그렇게 나는 다니던 가발공장을 그만두고 조선족 식당에서 일하게 되었다. 양꼬치집 이었는데 양꼬치뿐 아니라 한식들도 있었다. 거리도 멀고 버스비가 비싸서 집으로 다닐 수 없던 나는 식당에서 숙식을 했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한식을 꼭 배워야 했던 나는 아들과 남편을 떼어 두고서라도 몇 달만 버티자고 마음먹었다. 그렇게 어느 정도 한식을 익히게 되었지만 그 식당은 월급을 주지 않았다. 너무 한식당들이 많아서 장사는 잘 안되고 주인 여자는 수입이 없어 나한테 돈을 줄 수가 없다고 한다. 그곳 주인 여자는 물론 박씨라는 조선족 아저씨도 주방장으로 있었는데 그들은 내가 북한 여자임을 처음부터 눈치챘고 그래도 나를 위해준다며 한식을 많이 가르쳤다. 일한 돈을 받지 못하니 너무 속상했지만 그저 한식을 배우는 것에 만족해야만 했고 그들이 나를 해코지를 안 하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했다. 주방장 박씨는 가끔 나한테서 돈을 빌렸다. “300위안만 빌려 줘, 마누라가 다음 주에 월급을 탈 때 바로 갚아 줄게.” 그의 마누라는 거리가 먼 한국회사의 회계원으로 일했는데 나도 그녀를 가끔 본 적이 있어서 별 의심 없이 빌려줬다. 그렇게 나간 돈은 돌아올 줄 몰랐고 그는 후에 300위안을 또 빌려갔다. 세상 순진했던 나는 그의 아내를 만나서 돈 얘기를 꺼냈다. “남편이 1주일 후에 갚는다며 600위안이나 빌려갔는데 아직 안 갚았네요. 당신이 월급타면 준다고 했어요. 3개월이나 지났는데 이젠 돌려주세요.” 그녀는 화들짝 놀라며 남편이 돈을 빌린 것도 모르고 있었다. 그러더니 남편이 빌렸으니 그에게서 받으라고 매정하게 말했다. 박씨는 사실 나에게서 돈을 갈취할 목적으로 빌려달라고 한 것인데 내가 순진하게 속아서 빌려주고 돌려받기를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그 돈을 당구장이나 술집을 다니면서 아내 모르게 다 써버린 지 오래되었다. 식당에서 2달을 일하면서 돈 한푼 못 받은 건 둘째 치고 밤새워 가발을 만들어 번 돈 600위안은 그렇게 떼였다. 나는 이렇게까지 나를 속이고 갈취하고 살아가는 박씨를 정말 원망했다. 내가 얼마나 돈 한 푼을 아끼고 또 벌려고 애를 쓰는지, 내가 얼마나 돈이 꼭 필요한 사람인지 그는 잘 알면서도 내 돈을 그렇게 갈취해 갔다. 사실 나는 박씨에게 고향에 편지를 써서 보내달라고 부탁을 했다. 그는 연변에 있는 그의 친구들에게 부탁하면 북한 밀수를 하는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북한에 편지를 써서 고향에 보낸 지 두 달 넘어도 소식이 없었고 나는 그에게 매일같이 회답편지가 왔냐고 물었다. 그래서 박씨는 내가 돈 빌려 달라는 그를 차마 거절할 수 없을 거라는 나의 심리를 잘 알고 있었고 그렇게 나를 이용했다. 회답을 기다리는 동안 나는 고향에 보내는 편지만 한 가득 쓰고 또 썼다. 엄마에게, 아빠에게, 남동생에게, 언니, 조카들에게 각각 한 통씩 다 써놓고 답장이 오기만 하면 또 보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 편지 한 줄 한 줄 쓰면서 눈물을 얼마나 흘렸는지 모른다. 그러나 그 편지들은 영원히 부치지 못했다. 편지만 보내는데 너무 비싼 돈을 요구해 편지를 보내느니 차라리 그 돈을 가족들에게 부치는 편이 더 낫다. 그렇게 몇 달 만에 정말 고향에서 회답 편지가 왔다. 그런데 그 편지를 내가 받으려면 1000위안을 줘야 한다고 한다. 편지 보낸 지 5달 만에 받은 회답 편지인데 나는 정말 궁금해 미칠 것 같았다. 나는 그가 빌려간 돈 600위안이 있으니 400위안만 준다고 했지만 그는 자기 소관이 아니라며 딱 잘라 말했다. 그래서 겨우 800위안을 주고 편지를 받게 되었다. 그 편지 속에는 남동생과 언니가 쓴 편지가 있었고 가족사진도 들어 있었다. 나는 사실 부모님들, 특히 엄마가 쓴 답장을 기대했는데 편지 내용에는 엄마가 편찮아서 편지를 못 썼다고 했다. 조금 실망스럽고 느낌이 이상하긴 했지만 그래도 고향에 내가 살아있음을 알리고 회답 편지를 받게 되니 정말 그동안 쌓였던 고민이 다 풀리는 듯했다. 그로부터 1년 후 나는 박씨가 갑자기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사다리에 올라가다가 발을 잘못 디뎌서 추락사했다는 그의 아내의 말을 듣고 충격에 휩싸였다. 그의 아내는 그 후에도 나와 인연이 되어 서로 친구가 되었지만 참 세상은 요지경이다. 41살 밖에 안 되는 박씨가 1미터도 안 되는 높이에서 떨어져 죽다니 정말 사람 일은 모를 일이다. 월급이 없는 그 식당을 2달 만에 그만두고 나는 바로 그 근처에 있는 자그마한 금형 회사에 주방일 하러 들어갔다. 한국인이 3명 밖에 안 되는데 내가 잘 모르는 음식들도 가르쳐주던 좋은 사람들이었다. 그렇게 내가 집을 떠나 새 환경에서 적응하는 동안 유치원에 다니는 아들은 매일 밤 엄마를 기다린다며 대문밖에 몇 시간씩 앉아 있었다. 그 시절에는 아동 실종이 많이 일어났는데 아이가 얼마나 고집스러운지 대문 밖에서 절대 움직이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주인 할머니가 애를 달래느라 무척 고생했다. 그런 얘기를 들을 때마다 가슴이 섬뜩했고 하루빨리 집 근처의 회사에서 일자리를 찾아야 했다. 그렇게 음력 설이 가까워올 무렵에 집 주인은 설 지나면 우리가 사는 방을 닭을 기르는 양계장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그 말은 더는 아이를 돌봐 줄 수 없다는 얘기다. 우리는 그 할머니가 얼마나 아들을 잘 돌봐 주고 수고가 많았는지를 너무 잘 안다. 내가 집을 나가 있는 동안 정말 할머니는 자기 손주 보는 것보다 내 아들 돌보는 것이 훨씬 더 힘들었다고 한다. 월세 70위안으로 저녁 시간에 아이까지 돌봐야 한다니 여간 힘든 일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좋은 집주인들과 헤어져 동네 가까운 곳에 좀 더 크고 따뜻한 집에 둥지를 틀었다. 그리고 나는 드디어 집에서 자전거로 10분 거리인 남한 기업에 취직을 하게 되었다. 선풍기나 열풍기를 만드는 회사였는데 내가 다니던 중 최고의 직장이었다. 남한 사람들은 나에게 너무도 친절했고 사투리를 고쳐주었다. 일하는 환경도 정말 좋았다. 그곳에서 나는 남한 위성 TV를 보면서 드라마 대장금을 비롯해 음악과 예능 오락프로 당시 유행하던 ‘X맨’, ‘장미의 전쟁’, ‘천생연분’, ‘야심만만’ 등 너무너무 재미있는 프로를 보려고 주말을 손꼽아 기다렸다. 그 회사에서 나는 한국이라는 새로운 문명의 세계에 한걸음 한걸음 깊이 빠져 들어가고 있었다. 그렇게 접한 남한 문화는 나에게 꿈에라도 가고 싶은 동경의 대상이 되었고 혹시 나도 남한에 갈 수 있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를 품게 되었다. 그곳 직원들은 또한 나에게 컴퓨터 사용법을 가르쳤다. 나는 내가 감히 컴퓨터를 배우게 되리라고 상상도 못했는데 젊은 사람이 컴퓨터를 모르면 안 된다며 강제로 이끌려 컴퓨터 기술을 배워야 했다. “ㅇㅇ씨. 배워야 해. 앞으로는 뭐든지 배워야 잘 살 수 있어. 컴퓨터 사용은 기본이야. 주방에서 요리만 한다고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지 말고 가르쳐줄 때 배워. 그리고 시간 나면 낮잠이나 자지 말고 아무 때나 사무실로 와. 엑셀이나 파워포인트도 가르쳐 줄게. 배워 두면 나중에 쓸모가 많을 거야. ㅇㅇ씨는 총명해서 얼마든지 할 수 있어.” 이구동성으로 한마디씩 하는데 요점은 주방에서 요리만 하기에 내가 아까운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 회사에 조선족 총무가 있었는데 중국 국경절을 맞아 휴가를 받고 고향에 갔다가 정해진 날짜보다 늦어서 돌아왔다. 평소에 그 총무를 탐탁잖게 여겼던 회사 전무님은 그를 바로 해고해 버렸다. 그리고 회사에서는 컴퓨터를 배워서 나에게 총무 직을 맡아주면 어떠냐고 물었다. 사실 요리를 좋아하고 직원들이 맛있게 먹는 걸 보며 진심으로 행복감을 느끼면서 내 직업에 대한 자긍심이 넘쳤는지라 사무직은 선뜻 내키지는 않았다. 월급이나 대우도 똑같기 때문에 내가 굳이 사무실에서 중국인들 상대로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을 것 같았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여호와의 종 모세가 죽은 후에 여호와께서 모세의 수종자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내 종 모세가 죽었으니 이제 너는 이 모든 백성과 더불어 일어나 이 요단을 건너 내가 그들 곧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는 그 땅으로 가라. 내가 모세에게 말한 바와 같이 너희 발바닥으로 밟는 곳은 모두 내가 너희에게 주었노니, 곧 광야와 이 레바논에서부터 큰 강 유브라데 강까지 헷 족속의 온 땅과 또 해 지는 쪽 대해까지 너희의 영토가 되리라. 네 평생에 너를 능히 대적할 자가 없으리니 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강하고 담대하라. 너는 내가 그들의 조상에게 맹세하여 그들에게 주리라 한 땅을 이 백성에게 차지하게 하리라. 오직 강하고 극히 담대하여 나의 종 모세가 네게 명령한 그 율법을 다 지켜 행하고 우로나 좌로나 치우치지 말라. 그리하면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리니, 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그것을 묵상하여 그 안에 기록된 대로 다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네 길이 평탄하게 될 것이며 네가 형통하리라. 내가 네게 명령한 것이 아니냐? 강하고 담대하라.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라.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너와 함께 하느니라.’ 하시니라.”(수 1:1-9)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의 압제에서 구해내어 가나안 복지 문턱까지 인도하는 데는 40년이란 긴 세월이 걸렸다. 그 동안 모세는 백성들의 끈임 없는 원망과 불평과 비난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그는 그 모든 고통과 아픔과 슬픔을 견디어 내며 백성들의 선두에 서서 광야를 걸었다. 그 고난의 행진이 가나안을 눈앞에 둔 곳까지 왔을 때 하나님은 모세에게 그의 사명은 거기까지라 말씀하신다. 그때 모세는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실망과 좌절 속에 빠져들었을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복지를 동경하던 평생의 꿈이 산산조각 나는 순간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세는 아무런 항변도 하지 않고 느보 산 위에 올라 축복의 땅 가나안을 바라보며 생을 마감한다. 이 장면은 세례 요한이 예수님의 길을 예비하는 인간에게 주어질 수 있는 가장 축복된 사명을 완수하고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요 3:30) 말하며 조용히 사라져 간 사실을 생각하게 한다. 모세도, 세례 요한도 하나님이 주신 인생의 몫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웃으며 떠나간 위대한 믿음의 용장이요, 충성된 하나님의 종인 것이다. 위대한 민족의 지도자 모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 민족을 인도하여 가나안으로 진군한 지도자가 여호수아다. 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혹독한 학대를 받으며 신음할 때 에브라임 지파에 속한 눈의 아들로 태어난다. 출생했을 때의 이름은 호세아였지만 후에 모세에 의하여 “여호와는 구원이시다.”란 의미를 지닌 여호수아로 불리게 되었다.(민 13:16) 그가 어떤 계기로, 언제부터 모세의 마음에 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민족이 아말렉 족속의 공격을 받았을 때 모세는 여호수아를 이스라엘 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한다. 40세 중반에 불과한 그에게 모세가 이 같은 중책을 맡긴 것을 그에 대한 모세의 신뢰가 어떠했는가를 말해준다. 르비딤에서 아말렉과 벌린 전투에서 여호수아는 그를 향한 모세의 믿음과 신뢰를 저버리지 않았다. 비겁하게 연약한 여자들과 어린이들이 많은 출애굽 행렬의 후미를 습격한 아말렉 족속을 물리침으로 애굽을 빠져나온 이스라엘 민족에게 첫 승리를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동시에 여호수아는 르비딤 전투의 승리를 통하여 장군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다.”란 귀한 진리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즉 아말렉 군사들과 직접 싸운 것은 여호수아였지만 산 위에 오른 모세가 손을 들고 기도하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모세가 피곤하여 손을 내리면 그의 군대가 지는 사실을 통하여 여호수아는 하나님이 싸워주시지 않는 전쟁에선 결코 이길 수 없다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깨닫게 된 것이다. 르비딤 전투 후에도 여호수아는 모세의 수종자로서 그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모세가 시내 산에 오를 때도 그와 동행했으며, 하나님과 모세와의 만남과 대화를 늘 지켜보며 들은 여호수아는 하나님의 권능의 손길이 함께 하시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체험을 통해 알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기에 여호수아는 모세의 명에 따라 12명 정탐꾼의 일원이 되어 가나안을 탐지하고 돌아온 후 10명이 그 땅을 이스라엘의 힘으로는 정복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보고를 했지만 그는 갈렙과 더불어 넓고 비옥한 가나안은 그들의 것이 될 수 있다는 확신에 찬 보고를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때 여호수아가 “우리는 그 땅에 정착해 있는 이방 민족들의 강대함을 겁낼 필요가 없습니다.”(민 14:6-9)라고 담대하게 외칠 수 있었던 것은 함께 하시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해 싸워주실 것을 확실히 믿었기 때문이었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의 담대하고 확고한 믿음을 알고 계셨다. 때문에 하나님은 모세에게 “너는 영력 있는 눈의 아들 여호수아를 데려다가 안수한 다음 제사장 엘르아살과 모든 백성들 앞에 세우고 그를 네 후계자로 임명하라(민 27:18-22) 하셨고, 모세는 그 명령에 순종하여 지혜의 영이 충만한 여호수아를 그의 후계자로 확정한 것이다.(신 34:9)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두 번째 도전 끝에 성공한 누리호가 광활한 우주로 향하는 발사부터 성능검증위성이 분리되는 15분45초에 걸친 생생한 모습을 공개했다.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지난 6월21일 전남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위성의 궤도 안착에 성공했다. 지난해 10월 1차 발사의 실패 원인을 보완해 발사와 단(段)분리, 성능 검증, 위성의 궤도 진입까지 완벽한 성공을 거둠으로써 한국은 미국·러시아·유럽·일본·중국·인도에 이어 중량 1ton 이상 위성을 자력(自力) 발사할 능력을 갖춘 일곱 번째 우주자립국(宇宙自立國)이 됐다. 1950년 6월25일에 발발(勃發)한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전쟁은 헤아릴 수없이 많은 이들의 가족과 고향, 청춘을 앗아갔다. 불행 중 다행으로 목숨은 간신히 살아남았지만 72년이 지난 지금도 고향땅을 밟는 꿈을 꾸며 소스라치던 그때의 비극이 다신 되풀이되지 않길 염원하는 분들이 알게 모르게 우리들 주위에 너무나 많다. “다시는 전쟁이 있어서는 안 된다.” 같은 민족이 또 다시 전쟁을 치르는 일 없이 평화적으로 자유를 수호해야 한다는 올곧은 정신과 희생이 계셨기에 대한민국이 건재할 수 있었고 자유를 누리고 있음에 감사드린다. 지구촌 곳곳에서는 지금 인플레이션 막기 위한 ‘역(逆)환율 전쟁’ 중이다. 제롬·파월 美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 목표치인 2%로 둔화된다는 명백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물가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의지와 도구를 모두 보유했다”고 자신했다.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데 대단히 중요한 초점을 맞추겠다고 공언했으며, 이를 위해서 연준의 계속적 금리 인상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더 깜짝 놀랄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며 정책 입안자들이 현재 들어오는 데이터에 민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지난날에는 30촉 백열등이 그네를 타는 주막(酒幕)에서도 단골손님 외상(外上)거래 장부가 비치되어 있었다. 플라스틱카드가 생소하기만 했던 시절 지팡이에 술값을 매달고 나섰다는 ‘장두전(杖頭錢)’ 이야긴 흥미롭다. 질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고 금연과 금주는 기본이고 평소 식사할 때에도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채소와 과일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는 예기는 누구나 공감(共感)하면서도 저마다 입맛이 마땅찮은 경우도 없진 않다. 하지만, 변덕이 죽(粥) 끓듯 하며 밥상머리 반찬투정도 유분수(有分手)여야 하지 않을까. 늘 느끼는 것이지만 삼겹살과 돼지목살을 구분 못해도 고기에 진심인 경우는 차안(此案)에 부재(不在)함이다. 원유가격 폭등에도 아랑곳 않는 교통량은 날로 치솟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이란 예상은 한참 빗나갔다는 뉴스가 심드렁해진다. 기름 값이 하락하길 기다리기보단 기름 값 아끼는 습관을 가져보자. 경제속도란 연료를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속도다. 속도 60㎞/h 이하거나 100㎞/h 이상으로 넘어가면 연료소모가 커진다. 경제속도만 준수해도 연료를 10~20% 정도 아낄 수 있다. 급발진, 급가속 10번이면 100㏄가량의 연료가 소모된다. 이는 약 1㎞를 더 달릴 수 있는 양이다. 엔진의 예열(豫熱)을 위해 공회전(idling)을 하는 경우 여름철 1분, 겨울철 2분이면 충분하다. 차는 가벼울수록 연비효율이 좋고 짐이 무거울수록 기름도 많이 소모된다. 연료탱크에 가득 채우기보단 연비효율을 위해선 2/3정도만 채우는 것이 좋다고 한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6월16일 28년 만의 ‘자이언트 스텝’까지 단행했고, 뒤질세라 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도 잇따라 금리 인상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각국에서 금리 인상 경쟁이 벌어지는 이유가 자국 통화의 가치를 높여 수입 물가를 낮추기 위한 의도 때문이라며 ‘역(逆)환율 전쟁’이라고 이름 붙였다. 과거에는 수출 가격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국 통화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낮추던 전통적 ‘환율 전쟁’과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신흥국들에게는 금리가 높아진 미국 등으로 자본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역(逆)환율 전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공포의 균형이 억제의 핵심’이 될 수 있겠지만, 연준 다음으로 영향력이 큰 유럽중앙은행(ECB)이 7월에는 금리를 올리겠다고 예고했기에 ‘역(逆)환율 전쟁’은 불길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저마다 경쟁적으로 기준 금리를 올리면서 세계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도 높아지게 됐다. “현명한 사람들은 오늘 해야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도 않지만, 그냥 오늘의 게으름을 선택하기도 한다. 언감생심이지만 “공포에 사고, 환호에 팔아라!”하는 귀띔에 짐짓 망설이길 자처(自處)하는 우리들이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도저히 믿기지 않아 책상에 앉아 멍하니 밖을 내다보고 있다. 빗겨 쳐진 블라인드 틈새로 파란 하늘에 뭉게구름 몇 점이 흐트러진 흰 솜처럼 떠있을 뿐 흔들리는 백양나무 잎들이 바람 따라 술렁이고 있다. 우리 집 창은 윗부분만 헝겊으로 장식하고 가로 살 블라인드(Horizontal blind)로 처져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침실 창에 드려있는 블라인드의 간격을 조정하여 빛을 불러들이는 일이다. 그 다음 화장실을 환하게 조정한 후 살 틈을 엄지와 검지로 벌리고 밖을 내다본다. 눈높이에 맞추어 내다보면 비스듬히 높은 단풍나무가 턱 막아 선다. 앞뜰 한 복판에 서있는 큰 나무가 거슬린다고 잘라버리자고 성화지만 반쪽 뜰 주인의 허락을 받지 못하여 그대로 서있는 나무다. 겨우 잎눈이 틜 날씨인데 높은 나뭇가지에선 손가락만 한 벌새들이 쫓고 쫓기며 부산을 떤다. 후루룩 처마 밑으로 날아들면 깜짝 놀라 뒤로 물러서기도 한다. 짝짓기 하던 불티가 예까지 튀었나. 내다보는 사이 하루하루 잎이 커지고 종달새들이 날아든다. 블랙버드, 산비둘기도 날아든다. 블라인드를 차례로 한껏 낮추어 땅을 보면 입에 검불이나 잔가지를 물고 오르락내리락 둥지를 트는 것을 볼 수 있다. 잔디밭이 곡창이라도 되는지 그 많은 새가 쉴 새 없이 쪼아대도 무진장인가 보다. 블라인드 틈으로는 모퉁이 집 ‘샌디’ 부부가 새벽걷기를 하고, 빨강 노랑 옷을 입힌 강아지를 끌고 산책하는 노부부도 보인다. 시간 맞추어 지나는 통학버스와 기다리는 아이들 무리가 장난치며 깔깔거리며 뛰어다닌다. 생동하는 생명력이 색깔을 바꾸어가며 쉬지 않고 이어지지만 벌린 간격만큼 가로 잘린 그림들을 한 장으로 볼 수 없는 번거로움조차 즐거운 일상이 되었다. 단풍나무 꽃이 지며 차도에 쌓이고 씨가 날개를 달아 잔디를 덮게 되면 차츰 나무가 미워지기 시작하지만 계절의 변화를 읽고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나무는 안 자르기를 참 잘했다고 스스로 흐뭇해한다. 하루의 시작, 세상이 움직이는 동력을 체감하게 하는 풍경은 가을이 되어 단풍잎이 우수수 떨어지면 가랑잎 구르는 소리에 맞추어 내 삶의 이정표를 정리하게 한다. 자연이 내 주위에서 일련의 축제를 치르고 떠난 사이 자신에게도 변화가 있었을까. 오늘따라 반추하는 시간이 한정 없이 흐른다. 허무하다는 생각이 뭉실거리다 못해 황당하기까지 하다. 바로 며칠 전까지만 해도 전화로 대화를 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속절없이 말 한마디 남기지 못하고 떠나다니. ‘9988124’라는 만담을 하면서 호탕하게 웃던 장본인인데 시비조차도 가릴 수 없게 된 형편이 어이가 없다. 구십구 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하루 이틀 앓고 떠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삶이라고 강조하던 그가 ‘88124’ 팔십 세까지 팔팔하게 잘 살다가 떠난 것이다. 외대 영문과 졸업, 고등학교 밴드부에서 트럼펫과 색소폰을 불던 그는 교회 찬양대 단장으로 오랫동안 봉사하였다. 헌신적인 반려자 아내와 아들, 손자, 며느리와 더불어 편안하고 조용한 삶을 살았다. 한 달 전에 CT에 이상한 것이 포착되어 조직검사를 하고 악성 급성인 그 병의 진단을 받았다. 희한하게도 6개월이나 진행되었다는 그 병의 증세를 아무도 모르고 있었다. 입원, 사흘 후 퇴원, 퇴원 이틀. 순식간에 속수무책으로 떠난 것이다. 99는 떼어버리고 그토록 급히 떠나게 된 이유를 이것저것 아는 대로 끌어내 보았다. 아직 확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치유법. 어쩌면 그것은 블라인드 틈새로 세상을 내다보듯 사물 전체를 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보이는 구분된 지식의 불완전성 때문은 아닌지. 생성의 법칙이 질서정연하게 반복되는데 그 원리 전체를 알아낼 수 있는 때는 언제일까. 일본의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그의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책에서 ‘머리가 안 되면 시간을 쓰라’고 하였다. 역으로 말하자면 시간이 없는 사람은 머리라도 있어야 할 터인데, 머리도 시원치 않은 범인들은 언제나 조각 지식의 합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머리도 시간도 안 되면 가슴이라도 있으면 되리라고, 블라인드 틈새로 비치는 노을 빛이 속삭인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5월 월세 2,327달러, 작년동기 대비 16.5%↑…토론토시 20% 급등 Bullpen Research & Consulting 자료 광역토론토(GTA)의 임대료가 계속 오르고 있다. 지난달엔 한 달 만에 5.7% 상승하며 3년 만에 최대 월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Bullpen Research & Consulting과 TorontoRentals.com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임차수요가 증가하면서 지난달 GTA 모든 주택유형의 평균 월세는 2,327달러를 보였다. 이는 작년 동기(1,998달러) 대비로 16.5% 오른 것이다. 역시 토론토시(다운타운을 포함한 구 토론토) 임대료가 GTA에서 가장 높았다. 이곳 평균 월세가 2,438달러로 작년 대비 20%나 급등했다. 그 중에서도 금융 중심지인 베이스트릿 선상의 월세는 12% 상승한 2,764달러로 최고치를 찍었다. 이는 임대료가 정점에 달했던 2019년 평균보다도 1% 높은 수준이다. 이 기간 옥빌 월세는 2,299달러로 작년보다 11.2%, 이토비코(2,263달러) 17%, 벌링턴(2,233달러) 18.3%, 미시사가(2,224달러) 12.9% 각각 올랐다. 한인 밀집지역인 노스욕의 경우 2,102달러로 10.25% 뛰었다. 지난달 GTA에서 유일하게 월세가 하락한 곳이 있었다. 반지역은 평균 2,072달러로 6.6% 떨어졌다. Bullpen은 “이민자가 늘어나고, 부모의 집을 떠나서 독립하는 최근 졸업생들의 수요 등으로 시장의 재고가 부족해 월세가 크게 뛰었다. 게다가 높은 인플레이션, 이자율 상승, 공급망 문제 등의 영향까지 받아 임대시장이 매우 빡빡한 실정이다”고 밝혔다. 또한 “불확실한 경제 때문에 이사를 꺼린다. 첫 내집 마련 희망자들도 계속 월세로 머물면서 임대물량이 고갈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효태 기자 | [email protected])
CMHC “2030년까지 온주 185만 채 포함 전국에 350만 채 추가 공급 필요” 주장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가 향후 10년 동안 주택문제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더 많은 주택을 신속히 건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MHC에 따르면 계속되고 있는 주택 공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전국적으로 총 주택 수가 2,200만 채를 넘어야 한다. 그래야 집값이 안정을 찾을 수 있다. 현재의 추세로는 1,900만 채에 그칠 예정이다. 최근 주택 구매력은 지난 2000년대 초와 비교해 크게 약화됐다. 특히 온타리오주에서 공급 부족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적으로 안정됐던 지난 2003년, 2004년에는 온주 평균 가구의 가처분 소득에서 40%를 주택비용으로 부담했다. 이는 2021년에 들어서면 60%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악화됐다. CMHC에 따르면 다시 안정된 수준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온주에만 추가로 185만 채를 공급해야 한다. 올해 초 온주정부 태스크포스는 150만 채가 더 필요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 전국적으로는 현재 속도로 건축이 진행될 경우 2030년까지 230만 채만 늘어난다. 그러나 2000년대 초의 주택비용 40% 수준을 회복하려면 추가 350만 채가 필요하다. CMHC는 “이는 연방정부에서만 해결할 문제가 아니다. 주정부, 지자체 및 민간부문이 함께해야 한다. 개발업체는 더 많은 주택을 짓기 위해 생산적이어야 한다. 또 각 정부는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뤄지도록 건축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현재의 경제환경이 건축을 서두르는데 어려움이 있는 점도 인정했다. CMHC는 “최근 공급망 문제와 노동력 부족에 대출 이자율까지 상승하고 있다. 분명히 단기적으로는 도전이 있지만 2030년의 장기 목표를 밝힌 것이다. 민간 부문과 함께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효태 기자 | [email protected])
이토비코 여성중개인, 수천 장 홍보지 토론토 전역에 뿌려 포드 총리 “내 사진과 이름 사용 중지” 요청 덕 포드 온타리오주 총리의 집 중개인이 총리 이름과 사진을 사용한 광고지를 살포해 이의 중단을 요청 받았다. 이토비코 중개인 모니카 타파는 "방금 프린세스 앤 매너에 있는 덕 포드 총리의 집을 리스팅했다!"라고 자랑하는 수천 장의 홍보지를 토론토 전역에 뿌렸다. 집 사진과 함께 총리와 부인 칼라 포드가 식당에서 ‘Moving Ontario!’라는 헤드라인 아래 서류에 사인하는 모습의 스냅샷이 삽입됐다. 타파가 ‘총리의 중개인’(Agent to the Premier!)이라는 슬로건이 새겨진 노란색 티셔츠를 입고 단풍잎을 움켜쥐고 있는 카툰도 실렸다. 이와 관련 총리실은 "광고를 승인하지 않았다. 중개인에게 즉시 삭제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아직 이 집은 MLS에 등재되지 않았고, 내달 공식적으로 매물로 나올 예정이며, 재산세를 위해 평가된 가치는 184만 달러 정도다. 4명의 성인 딸을 둔 포드 총리는 근처로 이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집(63.85x120.47 피트 부지)은 포드 부부가 1998년 7월 30일에 53만5,000달러에 구입했다. 지난 2년 동안 코로나 백신과 봉쇄 조치에 반대하는 시위가 집 밖에서 자주 벌어졌다. 지난 6월에는 44세 남성이 칼을 든 채 문 앞에서 온주 경찰에 의해 체포되기도 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무디스(Moody's Analytics) 평가…2위는 세인트 캐서린-나이아가라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과대평가된 곳은 토론토 북동부 피터보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디스(Moody's Analytics)가 캐나다 주택가격을 분석한 결과 온타리오주 피터보로가 107.8%로 최고치였다. 이 지역은 지난 수년간 높은 집값 상승을 보였다. 피터보로 지역의 평균 가구소득은 연 7만달러 정도다. 2022년 5월 기준 이 지역의 평균 집값은 연간 19.8% 뛰면서 기록적인 83만6,843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러한 주택가격은 해당 지역의 가구소득으로 전혀 도달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무디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가구소득 7만달러로 승인 받을 수 있는 모기지가 30만달러 정도다. 그동안 만연했던 주택 투기성향과 오퍼 전쟁, 낮은 금리 등이 이 지역 집값을 너무 많이 올려놓은 요인이다”고 지적했다. 지난 5월 이 지역의 주택 거래는 34.3% 급감했다. 이러한 수요 하락은 비록 이 기간 집값이 뛰었지만 머지않아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을 점치게 한다. 이에 피터보로&카와사부동산협회는 “매물이 크게 늘면 집값 강세가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시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려면 강한 공급이 수개월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무디스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과대평가된 주택시장도 토론토에서 멀지 않은 세인트 캐서린-나이아가라 지역(106.9%)으로 평가됐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다가구 임대, 학생 기숙사 등에 관심...단독주택은 고려 안해 세계 최대 부동산 투자사인 미국 블랙스톤(Blackstone Inc.)이 캐나다 사업을 확대한다. 최근 블랙스톤은 “향후 수년간 캐나다 자산 포트폴리오를 상당한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다가구 임대, 학생 기숙사, 산업 공간 등에 중점을 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여러 도시에서 사무실 공간, 주거용 건물 등을 인수 및 개발 기회를 엿보고 있다. 블랙스톤은 "대규모 자본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캐나다 포트폴리오를 크게 성장시킨다. 생명과학 회사를 위한 사무실 공간,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스튜디오 제작 시설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블랙스톤은 캐나다에서 약 450개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 대부분 창고, 산업 공간, 오피스 타워 등이다. 단독주택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캘거리 3위-밴쿠버 5위…1위는 오스트리아 빈 ▲캘거리 토론토가 영국 싱크탱크에서 평가한 '2022 세계에서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8위로 평가됐다. 최근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자매회사인 EIU에 따르면 캘거리가 3위, 밴쿠버는 5위였다. 1위는 오스트리아 빈, 2위는 덴마크 코펜하겐, 공동 3위로 스위스 취리히가 이름을 올렸다. 6, 7위는 각각 스위스 제네바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EIU는 올해 2월 14일부터 한 달 동안 전세계 173개 도시를 대상으로 안정성, 보건, 문화와 환경, 교육, 기반시설 등 다섯 개 항목을 비교, 분석했다. 또한 평가 항목별로 범죄, 테러, 사회불안, 의료서비스 접근도, 부패 수준, 식품이나 소비재 공급, 공교육과 사교육 수준 등 30여개 지표를 평가해 종합순위를 매겼다. 서울은 100점 만점에 80점대를 받아 60위권으로 평가됐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봉쇄됐던 지난해 살기 좋은 도시 1위에 등극했던 뉴질랜드 오클랜드는 올해 34위로 떨어졌다. 또, 과거 1위에도 오른 바 있는 호주 멜버른이 10위에 자리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토론토의 한인환경운동단체 생태희망연대(HNET·대표 정필상.사진)는 오는 7일(목) 오후 7시 본한인교회(200 Racco Pkwy)에서 ‘크리스천의 눈으로 본 기후위기’ 특강을 갖는다. 강사는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사인 김신영 목사. 참가비 없음. 생태희망연대는 기후 및 생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활동하는 한인단체다. 정필상(영어명 Phillip) 대표는 “개신교계에서 기후위기에 대해 비교적 관심이 적었던 것은 성경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과학자나 극성 환경론자들의 일방적 주장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며 “이제는 기후피해를 입는 일이 점점 많아지므로 적극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희망연대는 지난 4월 토론토시의 ‘클린토론토 투게더’(CleanToronto together) 이벤트에 참여, 노스욕 공원과 트레일을 청소했고 5월에는 4주간에 걸쳐 온라인 세미나를 열어 한국의 기후 생태학자 조천호/최재천 박사 등의 동영상 강의를 듣고 토론시간을 가졌다. 희망연대는 올해 초 연방국세청에 비영리 자선단체 등록을 신청했다. 현재 60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밴쿠버에도 같은 단체가 출범했다. 문의: 416-898-1612/ [email protected]/ https://forms.gle/gPhWKbkmEwnJYXqQ7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우(Zillow) 연구보고서 “수천 달러 기꺼이 더 지불할 것” 집값을 더 받고 싶다면 벽을 어둔 회색(Dark Gray)으로 페인트칠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우(Zillow)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주택시장에서는 짙은 회색이 더 이상 우울한 색이 아니다. 오히려 집의 가치를 최대 6,491달러 더 인정받을 수 있는 기분 좋은 색이다. 이는 질로우가 전국 3,000명의 최근 또는 예비 주택 구매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밝혀졌다. 질로우는 각 색상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집을 둘러보고 주택을 구입하는 데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그리고 지불할 의사가 있는 가격대에 따라 해당 색상에 점수를 매겼다. 주택가격은 캐나다의 평균인 74만6,146달러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그 결과 어둔 회색 주방(6,491달러), 욕실(4,029달러), 침실(5,074달러) 및 거실(4,999달러)이 있는 주택에 대해 수천 달러를 기꺼이 더 지불할 용의가 있었다. 이에 대해 질로우는 "짙은 회색은 현대적인 느낌을 주고, 공간에 깊이와 드라마, 대비를 더하기 때문에 오늘날의 주택 구매자에게 어필하고 있다. 페인트칠은 집을 팔기 위해 매물로 내놓기 전에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일반 작업이다”고 소개했다. 질로우에 따르면 이 연구는 매도자가 더 많은 잠재적 구매자를 유치하고, 집값을 높이기 위해 페인트 색상의 선택이 전략적으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어들은 하늘색 주방(2,612달러)과 침실(1,865달러)의 집에도 더 많이 지불할 의향이 있었다. 중간 톤의 시멘트색도 주방, 침실 및 욕실에 사용할 때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대로 디자이너들이 일반적으로 좋아하는 숲의 청록색이 욕실과 주방에 칠해지면 나쁜 평가를 받았다. 구매자들은 평균적으로 짙은 녹색 욕실(-5,596달러)과 주방(-3,656달러)의 집에 대해 덜 지불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민트 그린(mint green) 주방도 유행할 수는 있지만 집값을 3,432달러까지 떨어뜨린다. 선샤인 옐로우(sunshine yellow) 주방과 욕실도 일반적으로 구매자에게 인기가 없어 6,044달러까지 낮아질 수 있다. 질로우는 "연구에 따르면 주택 구매자는 페인트가 비교적 쉽고 저렴한 변경임에도 불구하고 색상에 특히 민감한 것을 알 수 있다. 불확실성이 많은 복잡한 환경을 고려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집주인과 취향이 비슷하다고 생각할 때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높은 오퍼를 낼 가능성이 컸다. 전반적으로 방이 회색, 흰색 또는 파란색으로 칠해지면 비슷하게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지역에 따라 바이어들의 성향도 다를 수 있었다. 국내 5대 도시의 구매자 선호도에 차이를 발견했다. 토론토의 경우 135만달러의 일반주택을 기준으로 밝은 제이블루(jay blue) 거실이 있는 주택에 6,499달러를 더 지불할 용의가 있었다. 몬트리올에서는 욕실과 거실의 버건디(burgundy, 붉은 와인색)는 4,413달러를, 캘거리는 전체적인 정서를 거스르며 민트 그린 또는 선샤인 옐로우 주방이 있는 주택에 3,325달러를 더 지불할 것으로 나타났다. 집의 문도 집값의 차이를 만든다. 질로우의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슬레이트블루(slate blue)와 검은색 도어의 주택은 6,449달러 더 받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방의 적합한 페인트 색상이 주택에 대한 바이어의 인상과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집을 매물로 리스팅하기 전에 페인트 구입부터 고려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김효태 기자 | [email protected])
엘리자베스 도우즈웰 온타리오주 총독 및 덕 포드 총리와 함께 온주의원(MPP) 및 교통부 부장관 임명식을 갖고 공식 업무에 들어간 조성훈(Stan Cho) 부장관. 조성훈 온주의원(MPP)이 주의원 서약장에 사인하고 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제72주년 6.25 한국전쟁 추념식이 지난 6월 25일(월) 오전 11시 브램튼 메도베일 묘역에서 열렸다. 재향군인회 캐나다동부지회(회장 송선호)가 주최한 이날 행사에는 향군 회원과 한인동포들이 참가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최근 남녀노소 구분 없이 척추관절 질환을 호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무리한 업무 등으로 인한 반복되는 피로, 체력 저하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등은 목과 허리 근육을 굳게 만들고 통증을 만들면서 디스크나 각종 척추관절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척추관절에 이상이 발견되면 일상 생활을 하는데 여러 가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척추관절의 공통된 증상은 통증이다. 특히 척추는 척추 뼈, 돌기 사이 관절, 여러 돌기, 척추 뼈 사이 추간판, 척추 옆 여러 근육,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인대, 척추신경, 척추 혈관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물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원인은 크게 외적인 원인과 내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외적인 원인은 급만성 허리염좌, 허리타박상, 요추골절, 과도한 허리노동, 여성들의 경우 산후후유증, 추간판 돌출증후군 등이 있다. 내적 원인으로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신허(腎虛)나 신양허(腎陽虛)로 허리나 좌골 부근의 근육약화나 염증, 결핵 등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한약요법, 약침요법, 추나요법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염증과 통증을 제거하고, 이상부위에 인체 내 재생인자를 모아주는 기전을 통해 치료한다. 자연치유력, 면역력 증강 등으로 손상된 부위를 직접 회복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다양한 침법과 한약의 새로운 치료 개념을 도입하여 한방 의료의 원칙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척추에 외과적 손상, 또는 오랫동안 계속되어온 만성통증은 중년들에게 무릎이나 발목 등 다른 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여러 성인병을 동반시키는 경우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척추질환 위험이 특히 높은 중년들을 위해 척추질환과 동반하는 복합질환들도 병행치료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든다. 허리디스크를 치료하는 병리기전을 보자. 1차적 원인을 정중앙에 있는 요추의 좌우를 잡아주는 근육의 힘이 균형을 잃어 한쪽의 근육이 너무 잡아당기고 한쪽은 늘어나면서 요추의 무게 중심이 기울어져 척추간판이 찌그러져 신경을 압박하여 오는 병으로 인식한다. 한약과 침구요법으로는 이완된 근육을 수축시키고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척추의 좌우근육의 긴장도 평형을 잡아주므로 허리디스크나 목디스크를 치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약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되며 침술치료를 겸하면 치료기간이 단축된다. 또 한의학에서는 추나요법을 통해 척추변위를 일으킨 추골을 교정하여 척추와 연관된 기관의 기능을 바로 잡음으로써 자율신경균형을 맞춰줘 인체의 저항력과 활동력을 왕성하게 해준다. 한의학에서는 약해진 뼈와 신경, 인대를 강화시켜 척추관절의 자생력을 키워서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한다. 또한 증상 상태에 따라 녹용, 홍화, 자하거 등 척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 추출 성분을 경혈에 주입하는 약침치료를 통해 진액보충과 동시에 풍(風), 한(寒), 습(濕)을 없애 염증을 가라앉혀 통증을 잡아준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일치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