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ON

설중송탄(雪中送炭)

  

 눈 속에 갇힌 사람에게 숯을 보낸다는 뜻으로, 어려움에 봉착한 사람을 마침맞게 도와줌을 우리들은 ‘설중송탄(雪中送炭)’이라고 한다. 추위에 떨고 있는 사람에게는 화려한 비단옷이 아니라 땔감이 필요하다는 선현(先賢)들의 가르침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머리보다는 가슴으로 생각하려드는 경우가 적지 않다. “우리를 죽이는 건 박쥐가 아니라 정부가 강요한 침묵”이라는 한 네티즌의 절규가 가슴을 미어지게 한다. 이 풍진(風塵)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두마육(牛頭馬肉)’의 장광설(長廣舌)에 설마하니 휘둘리는 일은 없어야겠다.


 ‘우한(武漢)폐렴’의 원인균인 코로나 바이러스가 침(唾液)이나 신체 접촉 뿐 아니라 공기 중에 떠있는 비말입자(飛沫粒子)로 전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019-nCoV’에 대한 우리사회의 대응과 감염병(感染病)의 위험성에 대한 국내•외 평가와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와 주관적•감정적 요소까지 개입돼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사태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가 하면, 우리의 방역과 대응을 높이 평가하거나 한국의 보건 상황에 대해 칭찬하고 있다.”는 뉴스도 들린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미국 여행객들을 위한 주요국가 평가에서 한국을 안전한 나라인 ‘레벨1’로 분류했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법석이 발생하기 전과 같은 등급이다. CDC는 또 한국에서 20여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確診者)가 발생했는데도, 관련 내용은 아예 한국사회의 감염병 상황에 대한 설명에서는 언급조차 않고 있다. 


 대신 지난달 전 세계적으로 내놓은 ‘홍역(紅疫, measles)의 감염 가능성에 대한 주의(注意)’만 당부하는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레벨3’ 등급으로 지정, 미국인의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아이들도 바이러스에 전염되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덜한 증상을 겪고 금방 회복되기도 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아이들이 이 질병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유를 찾고 있다는데 바이러스 퇴치에 중요한 신체의 선천적인 면역성과 노화에 따라 악화되는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나이가 들어 갈수록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는 논리다.”


 이래저래 어수선한 세월이다. 안개 속을 헤매는 방랑자 같은 느낌이다. 끝내 병마(病魔)를 이겨내지 못한 젊은 의사 리원량(李文亮•34)의 사망소식은 안타깝기 짝이 없다.

작년 12월 초 중국 우한에서 새로운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SNS에서 알렸는데, 리원량을 포함한 8명의 동료의사는 ‘괴담(怪談) 유포자’라는 누명(陋名)을 씌워 반성문을 쓰게 했던 당국이 갑자기 ‘의인(義人) 만들기’에 나선 것은 국민 분노를 희석해보려는 것이라고 한다. 그의 죽음이 삶을 더욱 아름다운 것으로 승화시켜 준다. ?삼가 고인의 명복(冥福)을 빈다.


 중국에선 사망자 수가 천 명을 훨씬 넘었다. 의사 리원량에 대한 추모가 이어지면서, 중앙 정부가, 언론 자유를 억압해서 사태가 커졌다는 공개적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사태 초기 우한의 확진자를 축소했고, 태국•일본에서도 확진자가 나왔는데 정작 중국 내 다른 지역은 확진자가 없다고 발표했다는 거다. 당국이 은폐하고, 통제했고, 무엇보다 언론이 제 기능을 못하게 하는 체제에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들 지적했지만 당국의 검열은 더 강해지고 있다고 한다.


 여전히 진정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어느 시점에 꼭짓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설는지 예측이 분분하다. 어떠한 감염병이라도 접촉자 수와 잠복기, 발현(發顯)기간 등 현황 정보를 입력하면 바이러스 감소 시점을 미리 알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뒤늦게 주목받고 있다. 


 바이러스 감염 역시 현재까지 접촉자 수와 바이러스의 특성 정보만 넣으면 어느 시기부터 바이러스 위험도가 떨어질 수 있을 지 예측할 수 있다는데 그 내용이 궁금하기 짝이 없다. 바람결은 아직도 차디차지만 봄꽃들은 활짝 피어나길 저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